티스토리 뷰
OSI 7계층 정의
-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구성하여 개발한 네트워크 모델
OSI 7계층의 특징
- 상위계층 → 하위계층: 데이터 전달
-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데이터에 대한 캡슐화 수행
- 하위계층 → 상위계층 : 데이터 수신
-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고 분석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역캡슐화 수행
- TCP + 데이터 : 4계층의 세그먼트
- IPv4 + TCP + 데이터 : 3계층의 패킷
- Ethernet + IPv4 + TCP + 데이터 : 2계층의 프레임
OSI 7계층 세부 설명
- [간단한 용어정리]
- 허브 : 한 장치에서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을 모든 장비에 전송하는, 즉 플러딩(flooding) 하는 네트워크 장치. 스타형으로 연결.
![]()
- 허브는 하나의 장치에서 보낸 패킷을 허브에 연결되어있는 모든 포트로 브로드캐스트하기 때문에, 데이터 충돌이 발생할 확률이 높고, 불필요한 트래픽이 발생해 네트워크 성능 저하 → 스위치(H/W적 처리), 브리지(S/W적 처리) 로 문제 해결
- 스위치: 허브의 충돌 문제를 하드웨어적으로 해결
- 브리지: 허브의 충돌 문제를 소프트웨어적으로 해결
- 스위치와 브리지 역할: MAC 주소를 기억해 수신 장치에만 신호 전달
- 라우터: 데이터(패킷)을 목적지까지 포워딩하는 네트워크 장
- 1 계층: 물리 계층(Physical Layer)
- 전송 단위: 비트
- 케이블의 종류(유선), 무선 주파수 링크(무선)
- 허브, 리피터 등
- 2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 전송 단위: 프레임
- 프로세스 간의 연결
- 각 노드는 식별 가능하도록 MAC(Medium Access Control) 주소를 가지고 있음
- MAC: 통신 장비들(ex. 라우터, 스위치)의 물리적 주소, 하드웨어의 식별번호 (E0-73-E7-19-F0-62)
- 흐름 제어: 병목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를 느리게 보냄.
- 정지-대기(stop-and-wait), 슬라이딩 윈도우(Sliding window)
- 회선 제어: 신호 간의 충돌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함
- 오류 제어: FEC(Forward error control), BEC(backward error connection)
- FEC: 재전송 요구 없이 스스로 정정
- BEC: 재전송 요구(AQR, Automatic Repeat Request, 자동 반복 요청)
- 정지-대기(Stop-and-wait) ARQ, Go-Back-N ARQ, SR(Selective repeat) ARQ
- 브리지, 스위치 등
- 3 계층: 네트워크 계층(Network Layer)
- 전송 단위: 패킷
- IP 계층, IP 주소(논리적 주소)를 설정하여 전송
- 라우팅: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
- 라우터 등
- 4 계층: 전송 계층(Transport Layer)
- 전송 단위: 세그먼트
- IP 프로토콜(TCP, UDP)
- 5 계층: 세션 계층(Session Layer)
- 전송 단위: 메시지
- 동기 기능, 대화 기능
- 6 계층: 표현 계층(Presentation Layer)
- 전송 단위: 메시지
- 유니코드로 인코딩 된 파일 → ASCII로 변환
- 데이터 암호화와 해독 기능, 압축 및 압축 해제 기능
- 7 계층: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 전송 단위: 메시지
- SMTP, HTTP, TELNET, FTP 등
네트워크 장비
- LAN 구성 장비
-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 ex. 이더넷 어뎁터
- OSI 7계층 중 1계층, 2계층의 기능을 수행
- 맥(MAC) 주소라는 고유한 주소 지정 기능 제공
- 케이블
- 꼬임선 케이블 : ex. 휴대전화 충전기
- 동축 케이블 : ex. 모니터 연결선
- 광섬유
- 허브
- 네트워크 카드(Network Card)
- 인터네트워크 장비
- 리피터
- OSI 1계층 네트워크 장비
- 케이블을 통해 데이터가 전송될 때 감쇄(attenuated) 현상으로 인해 신호가 약해짐 → 증폭 및 재생시켜 전송
- 브리지
- OSI 2계층 데이터 링크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
- MAC 주소를 보고 해당 포트로 데이터 포워딩
- 허브와 달리 모든 포트로 플러딩하지 않음
- 브리지 테이블 관리
- OSI 2계층 데이터 링크에서 동작하는 네트워크 장비
- 라우터
- OSI 3계층에서 동작
- 독립적인 네트워크를 연결
- 패킷을 목적지까지 전달하기 위해 가장 효과적인 경로를 찾아 데이터 포워딩 → 라우팅
- 게이트웨이
- 리피터
+ 이상한 부분이나 틀린 부분 정정, 피드백 대환영입니다.
'자격증 > 리눅스마스터1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mod 특수권한(set-uid, set-gid, sticky-bit) (0) | 2024.05.09 |
---|---|
Access, Modify, Change Time 정리 (0) | 2024.03.09 |
프로세스 우선순위 NI, PRI 비교 (0) | 2024.03.05 |
[데이터 통신의 기본 이해] 네트워크 유형, 통신, 교환 방식 (1) | 2023.10.11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 Total
- Today
- Yesterday
링크
TAG
- uwsgi
- dockerfile
- Error
- loadBalancing
- flask
- cache
- 가상환경
- 웹배포
- static서버
- 수동설치
- Database
- nginx
- vi
- redis
- css적용
- docker
- 일괄변경
- PostgreSQL
- Python
- venv
- django
- haproxy
- Linux
- vim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