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설치 환경] Linux CentOS

yum을 이용하지 않고 PostgreSQL을 설치합니다. 경로를 잘 확인해주세요.

 

1. 필요 패키지 설치

postgresql 설치에 필요한 패키지들을 설치해줍니다.

yum -y install gcc gcc-c++ make autoconf readline readline-devel zlib zlib-devel openssl openssl-devel gettext gettext-devel python python-devel wget

 

2. PostgreSQL 압축 파일 설치

다른 버전 설치하고 싶다면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http://ftp.postgresql.org/pub/source/

 

Index of /pub/source/

 

ftp.postgresql.org

여기서는 PostgreSQL V12.1을 설치합니다.

wget http://ftp.postgresql.org/pub/source/v12.1/postgresql-12.1.tar.gz
tar zxvf postgresql-12.1.tar.gz
cd postgresql-12.1.tar.gz

 

3. Configure 및 설치

configure 파일은 압축 풀린 폴더 바로 아래에 있습니다.

설치 원하시는 경로는 수정해서 입력해주세요.(prefix, sysconfdir)

./configure --prefix=/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 --with-python --with-openssl --sysconfdir=/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data
make && make check
make install

 

4. Database Cluster 생성

데이터베이스 저장소 영역을 초기화하기 위해 다음 과정을 진행합니다.

initdb는 prefix에서 지정해주신 경로 아래의 bin 아래에 있습니다.

cd /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bin
./initdb -E utf-8 -D /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data

 

5. 실행

실행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원하시는 걸로 실행시키시면 됩니다. (data 경로는 수정해서 실행시켜주세요!)

    - 파일 경로: {prefix 경로}/bin

./postgres -D /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data -p 5432
./pg_ctl -D /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data -l logfile start

 

실행확인은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여 포트 5432가 잘 열려있는지 확인해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netstat -tupln

 

+ 추가적으로, 외부에서 설치한 PostgreSQL에 접속하기 위해서는 실행 전에 configure 하신 경로로 들어가 postgresql.conf 파일에서 아래와 같이 listen_addresses 부분을 localhost ➡ * 수정해주시면 됩니다.

    - 파일 경로: {prefix 경로}/data/postgresql.conf

수정하고 꼭 재시작 해주세요.

./pg_ctl -D /home/user/apps/postgresql/postgresql/data -l logfile restart

 

[참고] 다른 서버의 PostgreSQL 접속하는 명령어

./postgres -U user -h {ip주소} -p 5432 {Database 이름}

 

 

 

피드백, 틀린 부분 지적 환영입니다 :)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