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ss Time(접근 시간): 파일을 읽은 마지막 시간 Modify Time(수정 시간): 파일의 내용이 변경되었던 마지막 시간 Change Time(변경 시간): 파일의 허가권과 같은 상태가 변경되었던 시간. touch 1. 파일의 크기가 0인 빈 파일을 만들 때 사용 2. 파일의 Access Time, Modify Time 변경 가능 stat Access Time, Modify Time, Change Time 조회 가능 헷갈리지 말아야할 부분이, touch는 Change Time을 변경하는 것은 아님. Access Time과 Modify Time은 touch를 활용하여 원하는 시점으로 기록할 수 있지만, Change Time 은 Access Time과 Modify Time이 변경되는 시점이 기록..

포스터는 다음과 같이 진행될 예정. [Kakao 지도 API를 이용한 길찾기 웹 만들기] (1) Kakao 지도 API 키 발급 및 HTML5 + Javascript 적용 (2) Kakao 지도 Javascript를 이용해 Marker 이용해보기 (3) Kakao 지도 Javascript를 이용해 InfoWindow 이용해보기 (4) Kakao 지도 Python API 공공데이터 활용해 Javascript로 Polyline 그리기 𖦹현재 포스터𖦹 (5) 길찾기 API ODsay, Python을 이용한 실시간 길찾기 데이터 불러오기 (6) 백엔드로 불러온 실시간 길찾기 데이터 지도에 polyline 찍어보기 동기들과 구현해본 길찾기 서비스에 대한 기록. 학부생 수준으로 진행한 것이라 메모리 사용량이든 디스..
네트워크의 유형 LAN(Local Area Network) 가까운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OSI 7계층 중, 1계층(물리 계층), 2계층(데이터 링크 계층)에 해당 WAN(Wide Area Network) 멀리 있는 지역을 하나로 묶은 네트워크 전 세계를 연결할만큼 거리의 제약은 없으나, 전송 길이가 길기 때문에 LAN에 비해 속도가 느리고, 전송 에러율도 높음 실제 세계적으로 네트워크 연결되어있는 형태 (mash형) 구성 방식: 전용 회선 방식, 교환 회선 방식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LAN 보다는 범위가 크고, WAN 보다는 작은 규모에서 컴퓨터 간 연결하거나, 네트워크 간 연결하여 전달하는 도시권 통신망 LAN 사이를 이어주는 백본(backbone network..
OSI 7계층 정의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컴퓨터 네트워크 프로토콜 디자인과 통신 계층을 구성하여 개발한 네트워크 모델 OSI 7계층의 특징 상위계층 → 하위계층: 데이터 전달 헤더와 트레일러를 추가하여 데이터에 대한 캡슐화 수행 하위계층 → 상위계층 : 데이터 수신 헤더와 트레일러를 제거하고 분석하여 상위계층으로 전달하는 역캡슐화 수행 TCP + 데이터 : 4계층의 세그먼트 IPv4 + TCP + 데이터 : 3계층의 패킷 Ethernet + IPv4 + TCP + 데이터 : 2계층의 프레임 OSI 7계층 세부 설명 [간단한 용어정리] 허브 : 한 장치에서 전송한 데이터 프레임을 모든 장비에 전송하는, 즉 플러딩(flooding) 하는 네트워크 장치. 스타형으로 연결. 허브는 하나의 장치에서 보낸 패..
- Total
- Today
- Yesterday
- 수동설치
- nginx
- flask
- docker
- cache
- 일괄변경
- Linux
- static서버
- loadBalancing
- uwsgi
- Database
- vim
- dockerfile
- django
- PostgreSQL
- haproxy
- Error
- redis
- 웹배포
- venv
- Python
- vi
- 가상환경
- css적용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